Issues & Media/생활정보(356)
-
2017년 "빈용기 보증금 제도" 서민을 위한 정책인가?
|서민을 위한 정책인가? "빈용기 보증금 제도"집에서 나오는 소주병, 맥주병을 지금까지 어떻게 처리하셨나요? 지금까지는 아파트의 분리수거함에 그냥 넣어왔습니다. 예전 같으면 동네 구멍가게에 빈병을 가져다 주면 반환금을 받았고 그걸로 군것질 거리들을 사먹었는데요. 최근에는 어디다 빈병을 가져다 줘야할지도 모르고 그냥 분리수거함에 버리는 일들이 많았습니다. 하지만 2017년 1월 부터 소주병 100원, 맥주병 130원 으로 인상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순간 집에 술병들을 모아놓고 있습니다. 2016년에 생산된 제품이나 라벨 훼손으로 확인이 불가할 때는 종전 가격(소주병40원, 맥주병 50원)으로 보상된다고 합니다. 빈 병의 반환을 거부하는 소매점에 대해서는 최고 300만원 까지 과태료가 부과된다고 합니다. 반환..
2017.01.09 -
2016년 한해동안 우리 애주가들이 낸 세금은 얼마나 될까요?
즐거운 토요일 아침입니다. 오늘은 가족과 나들이를 계획하고 계신가요? 기온은 1~8도 안개가 낀 하루라고 합니다. 날씨이야기를 드리려는 건 아니구요 :) 이상한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술 좋아하세요?. 작년 한해동안 내가 먹은 술병의 양은 얼마나 될까요? 내가 한해동안 술을 마시면서 국가에 헌납한 세금은 얼마나 될까요? 아마도 이런것까지 기억하면서 술 한잔 하시는 분은 극히 일부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없다고 확신합니다) "힘들때, 즐거울때, 고단할때, 슬플때" 애주가라면 그 어느때라도 술이 생각나지 않는 순간이 없을텐데요. 적당히 조절할줄 알면 우리의 인생에 좋은 친구의 역할을 해줄 술, 2016년 한해동안 우리 애주가들이 낸 세금은 얼마인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2016년 국세청이 거둔 주세는 3조..
2017.01.07 -
영덕대게빵
[ 2TV 생생정보 240회 ] 01월 06일 ■ 영덕대게빵#주소: 경상북도 영덕군 강구면 영덕대게로 49 (동해대로 4505)#전화: 054-733-2332#가격: 3BOX 36,000원 | 1BOX 12,000원#홈페이지: http://xn--o79aj6jjh060b59i.com/main. 이미지ⓒ영덕대게빵.
2017.01.06 -
커피 잘 마시는 방법 "건강하게 커피 마시기"
2015년 기준으로 대한민국 1인의 커피소비량은 2.29kg 이라고 합니다. 커피 한잔을 10g기준으로 계산했을때 1인당 230잔을 소비한 꼴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세계 15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라고 하네요 물론 조사마다 차이는 발생하지만, 우리주변에 있는 커피전문점들의 수를 보면 이보다 많으면 많았지 작을것이라 생각되지는 않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밥보다 많이 마시는 커피 기왕 먹는거 커피에 대해서 좀더 알고 건강하게 잘 마셔야 하지 않을까요? 오늘은 건강하게 커피 마시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커피에는 어떤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까요?커피에는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글로로겐산)과 '카페인'이 들어 있어 적당량 섭취하면 피로해소, 이뇨작용을 통한 노폐물 제거, 활성 산소 제거, 항암효과, 우울증 예방, ..
2017.01.04 -
2017년 연말정산을 준비하는 우리의 자세
정유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병신년에 열심히 경제활동을 한 우리들 2017년 부터 숙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연말정산이 그런데요, 귀찮기도 하고 이럴거면 세금을 적게 걷어들이거나 간접세를 없애지 그런가 라는 원망감이 들기도 합니다. 하지만 악법도 법은 법, 이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는 의연한 자세로 연말정산 이라는 적들을 물리쳐야 할 때가 된것 같습니다. 저도 3년전에 75만원이라는 거금을 국가에 헌납한적이 있습니다 -_- 직장인들에겐 한해의 마무리와 새로운한해의 시작을 알리는 연말정산 혹시라도 세금폭탄을 맞는일을 줄이도록 꼼꼼하게 대비하여 환급받는 연말정산이 되시길 바랍니다. |연말정산이란?말 그대로 연말에 하는 세금정산을 말합니다. 근로소득자를 대상으로 (우리가 느끼기에는 더 뜯어갈려는 수작정도로 보일수..
2017.01.03 -
"보양식"도 체질에 따라 먹는방법이 있다고?
대표적인 보양식하면 떠오르는 삼계탕. 삼계탕은 한여름 더위에 지친 몸에 원기를 회복하기 위해 많이 먹고 있습니다. "초복,중복,말복" 의 절기를 중심으로 특히 많이 먹고, 굳이 여름철이 아니어도 사계절 보양식으로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데요이미지(c)검색(원본수정가능)이처럼 좋은 보양식도 섭취하는 사람의 체질에 따라 보양이 될 수도 있고, 독이 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전통 한의학에서는 체질을 따져 일상에서 먹는 생활음식과 보양식의 조화를 통해 삼복의 건강을 지켰다. 조선 말기의 의학자 이제마는 사람의 체질을 태양(太陽), 태음(太陰), 소양(少陽), 소음(少陰) 네 가지의 체질상태로 나누고, 사람마다 성격이나 심리, 음식, 내장의 기능, 약리반응 등이 다르므로 같은 병이라도 체질에 따라 약을 달리 써..
2017.01.01